현재 미얀마에서는 최대 규모의 강진이 발생한 상황인데, 이로 인하여 작성시점(25.3.29 14:00) 현재 700명 사망, 부상은 1,000명이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다음은 지진 발생 사고에 대한 간단 요약입니다.
지진 발생 상세 정보
- 2025년 3월 28일 오후 12시 50분경, 미얀마 중부 사가잉 지역에서 규모 7.7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 진앙은 만달레이 서남서쪽 약 33km 지점으로, 진원의 깊이는 약 10km로 비교적 얕았습니다. 이로 인해 지표면에서의 진동이 더욱 강력하게 전달되어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습니다.
- 이번 지진은 1948년 미얀마 독립 이후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기록되었으며, 1912년 메묘 지진 이후 113년 만에 발생한 최대 규모의 지진입니다.
피해 규모 및 양상
-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만 명을 넘어설 확률을 71%로 예측하며, 최대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만달레이를 비롯한 진앙 인근 지역은 건물 붕괴, 도로 파손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문화유적지의 파괴는 역사적, 문화적 손실을 가중시켰습니다.
- 지진의 여파는 미얀마 인접국인 태국, 베트남, 중국 등에도 미쳐 태국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30층 건물이 붕괴되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베트남 호치민에서도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 미얀마 군정은 최소 144명의 사망과 732명의 부상을 공식 발표했지만,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수정 메르칼리 진도 등급(MMI) 기준 9등급의 진동에 노출된 인구가 37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음을 시사합니다.
국제 사회의 지원 및 대응
- 미얀마 군정은 국제 사회에 긴급 구호 지원을 요청했으며, 이에 따라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들이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 중국은 긴급 인도적 구호 및 지원을 약속하며 구조팀을 파견했고, 러시아도 구조대를 미얀마로 급파했습니다.
- 유럽연합(EU)은 위성 관측 정보를 제공하며 추가 지원을 준비하고 있으며, 미국 또한 지원 의사를 밝혔습니다.
- 미얀마 군부의 정치적인 상황으로 국제사회의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지가 불투명 합니다.
미얀마의 정치적 불안정과 인도주의적 위기 심화
-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미얀마는 정치적 불안정과 내전을 겪고 있으며, 이번 지진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켜 인도주의적 위기를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됩니다.
- 국제 사회의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진 피해 복구는 더욱 어려워지고 인도주의적 위기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이번 미얀마 지진은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복잡한 정치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재난 속에서 전세계와 EU는 재난 지원을 약속하였으나, 미얀마 군부 측에서 반군부 세력에 대해서는 지원이 일절 없다고 단언을 하는 상황이라 이 문제가 잘 해결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좀 더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CHU'S 국내외 정세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에 동참하세요!(기부처 안내) (0) | 2025.03.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