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지자체별 출산지원금 비교표
정부의 첫만남이용권(200만 원)과는 별도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출산 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지원 금액과 방식에 차이가 있으므로, 거주 지역에 따라 추가 혜택을 꼭 확인해보세요.
지자체 | 첫째 지원금 | 둘째 지원금 | 셋째 이상 | 지급 방식 | 비고 |
---|---|---|---|---|---|
서울특별시 | 30만 원 | 100만 원 | 200만 원 | 일시금 | 구별 차이 있음 |
부산광역시 | 100만 원 | 200만 원 | 300만 원 | 분할 지급 | 지역아동수당과 연계 |
대구광역시 | 50만 원 | 100만 원 | 200만 원 | 일시금 | - |
경기도 수원시 | 50만 원 | 100만 원 | 300만 원 | 일시금 | 출생신고 후 신청 |
강원도 평창군 | 500만 원 | 1,000만 원 | 1,500만 원 | 분할 지급 (최대 24개월) | 전국 최고 수준 |
전라남도 해남군 | 300만 원 | 600만 원 | 1,000만 원 | 일시금 + 월별 분할 | 다자녀 가정 추가 지원 있음 |
경상북도 안동시 | 100만 원 | 200만 원 | 500만 원 | 2~3회 분할 | - |
충청남도 서산시 | 100만 원 | 300만 원 | 500만 원 | 일시금 | 농촌지역 출산장려책 확대 중 |
제주특별자치도 | 200만 원 | 300만 원 | 500만 원 | 일시금 | 출산용품 키트도 제공 |
※ 모든 금액은 지자체별 예산 편성 및 정책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출산 시기 및 신청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반드시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 확인이 필요합니다.
📌 추가 팁
- 거주지 기준: 대부분 ‘출산일 기준 6개월 이상 주민등록’ 필요
- 출산 신고 후 60일 이내 신청 권장
- 중복 가능: 첫만남이용권(국가 지원금) + 지자체 장려금 동시 수령 가능
- 둘째 이상은 양육수당, 보육료 추가 지원도 가능
'2025년 정부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사랑통장, 첫만남 이용권과 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보자 (1) | 2025.04.22 |
---|---|
2025 정부 지원 적금 총정리!(디딤씨앗, 청년희망적금,아이사랑통장 비교) (0) | 2025.04.22 |
디딤씨앗통장 VS 일반 적금 (혜택 비교 총정리) (0) | 2025.04.22 |
2025 디딤씨앗통장 완전정복! (혜택을 모두모두 알려드립니다) (0) | 2025.04.22 |
2025년 청소년 한부모 취업지원 정책 총정리(자립 지원 패키지 포함!!) (2) | 2025.04.22 |